새사랑교회

전체 메뉴 바로가기 로그인 바로가기

신앙자료실

이전 페이지 이동 홈 화면 바로가기
[우리 안의 샤머니즘] 기독교인이 점을 본다?
백인범 2025.1.26 조회 37

[우리 안의 샤머니즘] <> 기독교인이 점을 본다?

 

무속인 시절 손님 40%가 기독교인사모·권사도 찾아와

·사주·타로 등을 보는 건 돈을 주고 사망을 사는 행위입니다,"

 

설날을 앞두고 신년 운세를 보기 위해 점집을 찾는 경우가 있다. 하나님을 축복 자판기처럼 여기는 등 무의식 속에서 기독교의 일부인 양 자리잡은 무속적 행태 역시 문제다. 역술인 출신 기독교인이 말하는 부끄러운 신앙인들의 실태를 짚어보고 십계명과 종교개혁의 정신으로 신앙을 다시 비춰본다. 한국교회 안에 스며든 샤머니즘을 세 차례에 걸쳐 조명한.

 

26년간 무속인으로 살다가 8년 전 회심한 심선미(54) 부산 제2영도교회 집사가 기독교인에게 전하는 경고다. 그는 2017년 우울증으로 힘들어하던 중 우연히 한 교계 방송의 생방송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영접 기도를 하게 된다. 이를 계기로 예수님을 만난 후 무속 생활을 청산하고 대한예수교장로회(예장) 고신 소속 제2영도교회(신인범 목사)에서 집사 직분을 받고 기독교인으로 살고 있다. 아울러 유튜브 심선미TV’를 운영하며 무속에 치우치는 이들을 위한 신앙상담가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.

지난 15일 부산 서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심 집사는 미디어를 통해 무속문화가 일상 속에 친근하게 스며드는 점부터 우려했다. 심 집사는 기독교인은 호기심에라도 점·사주·타로를 봐서는 안 된다면서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며 우리의 생각과 마음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.

 

점집 찾는 기독교인

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이 202311월 전국의 만 19~34세 개신교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독청년 인식조사에 따르면, ·사주·타로를 접해 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45.4%로 나타났다. 명상·요가(45.7%)에 이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. 기독 청년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마음의 평안을 찾기 위해 일정 부분 무속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다.

 

심 집사는 과거 무속인 시절 찾아온 손님의 40%는 기독교인이었다청년이나 일반 성도부터 사모 권사는 물론 항존직까지 다양한 직분이 분포해 있었다고 밝혔다. 이어 기독교인이 점을 보러 오면 하나님을 믿는다면서 왜 귀신에게 와서 운명을 맡기냐고 되레 묻기도 했었다면서 이러한 행위는 하나님에 대한 불신이 있기 때문이다. 신앙인으로서 매우 모순적이라고 지적했다.

심 집사에 따르면 기독교인이 점집을 찾은 이유는 미래에 대한 불안 해소’‘가족의 건강 문제’‘자녀 문제 등이다. 대부분 한 치 앞을 알지 못하는 미래와 관련된 불안함에서 고민 끝에 찾아온 것이었다. 심 집사는 십계명부터 강조했다.

 

십계명 제1계명이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마라입니다. 우상숭배는 우리의 생각에서 시작합니다. 생각은 마음으로, 마음은 행동으로 이어지기 마련입니다. 하나님 외에 다른 존재에게 미래를 물을까 하는 찰나의 생각도 우상 숭배와 다름없습니다.

 

하나님만 경외해야

 

심 집사는 무속을 멀리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로 영적으로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. 무속 행위에 발을 들여놓음으로써 악한 영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될 위험이 크다고 전했다. 그는 점을 보고 싶다는 호기심은 어둠의 영을 불러들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악한 영의 존재를 인정하되 결코 그들에게 의지해서는 안 된다. 유일한 신이신 하나님을 믿고 우리의 생각과 마음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.

 

재미로 보는 사주풀이와 타로도 예외가 아니라고 경고했다. 결국 모든 무속의 근원은 악한 영에게서 나오기 때문이다. 심 집사는 사주풀이의 기본이 되는 역학은 하늘의 기운을 받아 해석하는 것이라며 단순한 역학이 아니라 어둠의 영이 역술가의 입을 통해 말하는 것이다. 타로도 마찬가지로 귀신의 목소리를 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. 그는 기독교인에게는 팔자라는 게 없다면서 기독교인들이 자기 사주팔자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고 밝혔다.

 

심 집사는 기독교인이 하나님을 믿는다면 당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. 우주 만물을 창조하시고 죽은 자도 살리시는 전능하신 하나님은 그 어느 것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강하신 분입니다. 온 인류를 주관하시는 유일한 분이고,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를 너무나 사랑하셔서 제일 좋은 것만 주고 싶어 하시는 분입니다. 당장 상황이 어렵다고 말로 불평불만 하는 것은 하나님을 모욕하는 것과 같습니다. 하나님만 온전히 의지하고 믿음을 굳건히 해야 합니다.” 

댓글 0
상단으로